일상 탈출...
해우재(解憂齋)(2). 수원시(水原市) 본문
해우재(解憂齋)(2). 수원시(水原市). 경기도(京畿道)
화장실의 탄생 Birth of Toilet
화장실 문화는 정착생활과 함께 시작되었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첫 번째, 사람은 직립보행을 하도록 진화하면서 육류를 섭취하게 되었다.
그 후 배설물에서 냄새가 많이 나기 시작함에 따라 화장실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
두 번째, '이동 생활'에서 '정착 생활'로 변하며 똥과 오줌의 처리가 중요시 되었다.
고대 주거문화의 변화와 화장실의 탄생
구석기 시대 The Old Stone Age
600,000 years ago
이동 생활 Migratory life
신석기 시대 The New Stone Age
BC 500
정착생활 Settled life
청동기 시대 The Bronze Age
BC 500 - AD 0
농경생활의 시작 The Agricultural Age began:
주거내부에 공간이 나누어지고 규모가 조금씩 커짐
철기 시대 The Iron Age
AD 1 - AD 300
농경생활의 정착 Farming life took root.
화장실(퇴비 저장소)이 필요해짐
철기시대 이후 Post Iron Age
AD 300 -
화장실은 농사에 편리한 방법 위주로 조금씩 변화
요강 이야기
백제시대의 남성용 요강 '호자'
백제의 남성용 변기 '호자'는 입을 벌린 채 앉아 있는 호랑이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백제인의 독창성을 표현했다.
조선시대 임금님을 위한 요강 '매화틀'
매화틀은 조선시대 왕을 위한 휴대용 요강으로, 매화그릇에 담긴 똥의 상태를 살펴 왕의 건강상태를 점검했다.
태양왕 루이14세의 '의자형 변기'
베르사유 궁전에는 화장실이 없었으며 루이 14세는 의자처럼 생긴 변기에 앉아서 신하와 접견하기도 했다.
'뒷간'의 여러가지 이름
뒷간
옛 한국 가옥에서 화장실을 대게 집의 뒤쪽에 두었기 때문에 생긴 단어로 '똥과 오줌을 처리하기 위한 장소'를 의미
측간(厠間)
'똥, 오줌을 배설하는 장소'를 의미
정방(淨房)
'몸을 깨끗이 하는 장소'를 의미
북수간(北水間)
'뒷물을 하는 장소'를 의미
변소(便所)
'똥과 오줌을 처리하는 장소'를 의미
정랑(淨廊)
절에서 화장실을 부르는 단어로 '깨끗한 복도'를 의미
해우소(解憂所)
절에서 화장실을 부르는 단어로 '근심을 푸는 장소'를 의미
통시
'똥돼지간'이라고도 부르며, 똥과 오줌을 누는 곳과 돼지를 기르는 곳을 합친 장소를 의미
화장실(化粧室)
똥, 오줌을 배설뿐 아니라 화장의 기능이 추가된 장소를 의미
"뒷간에서 밭까지"
뒷간에 비치된 변기는 양쪽에 널따란 판자를 데고 가운데 뚫린 구덩이에 똥과 오줌을 모으는 형태였다. 모인 똥과 오줌은 거름으로 사용했는데 부유한 사람의 똥은 더 비싼 값에 거래되기도 했다.
근대 화장실
'뒷간에서 화장실로'
개항이후 서양식 문물, 위생관념의 유입과 근대 교육을 받은 계층이 전통주택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으며 한인건축가에 의하여 대안 모색이 시작되었다.
'위생'이 가장 큰 화두였으며 그 중에서도 부엌과 화장실의 청결이 가장 주된 관심사였다.
1910-1930
조선대박람회에 가족 중심의 공간구성,
부엌과 화장실이 개량된 3개동의 주택이 출품되었다.
1930년대, 쪼그리고 앉는 동양식 수세식 변기가
화신백화점, 반도 호텔과 같은 특수 건물에 나타나고
명칭도 변소에서 화장실로 바뀌기 시작했다.
1940
'조선주택영단'이 설치되면서
주거공간에 화장실이 들어온 형태인
문화주택(영단주택)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문화주택 평면도
1950
1958년,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기술로 처음 건설된 종암아파트 내부에는 변기가 설치되었다.
화장실내에는 수세식 변기외 기타 시설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관공서의 화장실부터 남.여를 구분하여 개조하기 시작하였다.
공중화장실의 청결을 위해 소독반이 배치되는 등 공중화장실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다.
수원시에서 작성한 '시, 읍. 면 시설카드'속의 공동변소(공중화장실) 자료를 통해 근대화 과정속에서 위생개념이 생겼음을 알 수 있다.
1960
경제개발 5개년 사업의 일환으로 "대한주택공사"가 설립되어 아파트식 주거형태가 보급되었다. 1962년 세면기, 욕실, 변기로 구성된 지금의 형태와 비슷한 화장실이 마포아파트에 처음 설치되었다.
마포아파트 평면도
86 서울 아시안 게임과 88 서울 올림픽 등 국제행사를 개최하며 '화장실 깨끗하게 하기'등의 청결운동이 진행되었지만 이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이들 대회를 준비하면서 화장실관리의 체제정립과 화장실 개선의 필요성이 공감대를 일으키는 등 화장실문화운동의 초석을 마련했다.
2002 한.일 월드컵 개최가 확정되면서 정부와 민간이 합동하여 화장실문화운동을 시작하였다.
1996. 수원시 화장실문화운동 시작
1997.12 수원시 월드컵 개최도시 선정
1999.10 한국화장실협회(KTA) 출범(한국, 수원)
국민의 보건, 위생 향상을 통해 생활 안정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한국의 화장실문화의 수준을 높이고자 설립
2000.9 제 1회 한. 일 화장실포럼 개최(한국, 수원)
2006.11 세계화장실협회 창립총회 조직위원회(WTAA) 출범
주한 외신기자단, 외교사단 수원시 공중화장실 투어
2007.11 세계화장실협회(WTA) 창립총회 개최 66개국 참가(한국, 코엑스)
"화장실 혁명이 인류의 미래를 바꾼다"는 슬로건과 함께 화장실을 통해 인류의 보건과
위생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2007년 11월 22일 창립된 국제 민간단체
2012.7 제3회 한. 일 화장실포럼 개최(한국, 수원)
2014.2 제2차 WTA 정기총회 개최 15개국 참가(한국. 수원)
제 3대 염태영 회장 취임
2017.10 WTA '2008-2017 공중화장실 건립 지원 사업' 총 14개국 26개소 완공
수원시의 화장실 문화운동
1996년 2002 한일월드컵 축구경기를 수원에 유치하기 위하여 당시 심재덕 수원시장은 수원시의 공중화장실을 개선하여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화장실을 만들 것'을 선언하였다.
다음해 수원시는 이를 전담하는 부서를 신설하여 화장실 개선사업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았으며, 이로부터 본격적으로 화장실문화운동이 시작되었다.
화장실문화 진흥을 위하여
화장실문화운동이 수원에서 시작된 이후 화장실 발전을 위한 연구 및 기술 교류, 문화적 전파를 위한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우재>는 세계유일의 화장실테마파크로서 화장실과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 및 보존 등 체계적 관리를 하고 있다.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관리) ① 공중화장실 관리인은 공중화장실과 그 주변의 청결을 위하여 공중화장실 관기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화장실문화운동의 세계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 의하면 세계인구의 40%인 20억명이 적절한 화장실이 없이 생활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연간 200만명 이상이 수인성전염병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한다. 화장실은 인간의 생명과 존엄을 지키는 장소이자 위생의 핵심이다. 세계화장실협회는 창립이후 '개발도상국 공중화장실건립 지원사업'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가나
라오스
남아프리카
인도네시아
케냐
신기한 '세계의 화장실 문화'
유목민 화장실
몽골에서는 '땅은 화장실'이라는 말이 있다.
이동 중 어디에서나 용변을 보기도 하며 유목생활을 하는 특유의 방식 때문에 천막식 이동형 가옥형태의 화장실을 사용한다.
이슬람의 화장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이슬람교의 나라이다.
이들 나라에서는 하루에서 몇 번이고 물로 몸을 깨끗이 하는 습관이 잇다.
용변 후에도 왼손으로 물을 받아서 항문을 씻는다.
불교의 화장실
불교의 발상지 인도에서는 강 가운데서 똥을 누는 경우가 많다. 강은 신성한 갠지스 강과 관련 있다. 갠지스 강은 생명을 탄생시키는 장소이고 죽어서 돌아가는 장소로 여겨 자기 몸에서 나온 것을 흘려 보내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한다.
사막 화장실
이집트 사막은 매우 건조하여 인간의 똥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사막에서 용변을 보면 10분 이내에 건조되고 뒤처리도 모래로 하면 된다.
에스키모인의 화장실
기온이 영하 60도까지 내려가는 북극에서는 실외에서 소변을 볼 수 없다. 그래서 추위에 강한 에스키모인도 실내에서만 똥과 오줌을 눈다.
아마존의 화장실
아마존 수렵 채집 원주민은 화장실을 따로 만들지 않고 야외 적당한 곳에 배설한다. 뒤처리는 나뭇잎으로 하며 강가에서 물로 씻기도 한다.
해우재 안의 화장실
변기 모양을 본 떠 만든 해우재는 특이한 외형뿐만 아니라 집안의 한 가운데 화장실을 두어 생활의 중심으로 이끌어 냈다는 점이 매우 독특하다.
화장실은 멀리 있을수록 좋다는 우리네 속담이 있을 정도로 생활공간에서 가장 후미진 곳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통념을 뒤집은 해우재는 심재덕의 화장실에 대한 철학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공간이다.
이곳은 평상시 전면 유리를 통하여 정원을 감상하거난 홀로 사색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지만 용변을 볼때 스위치를 켜면 전면 유리가 불투명유리고 변하여 외부돠 차단되게끔 장치한 흥미로운 화장실이다.
생활를 바꾼 발명품 '수세식 변기'
최초의 수세식 변기는 16세기 말 영국에서 발명되었으며 그 후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와 같은 형태의 수세식 변기가 개발되었다.다.
화장실 속 '과학 엿보기'
사이펀의 원리 Working principle of a Siphon
변기
변기 내부를 살펴보면 하수도와 연결된 부분에 U자 형태의 관이 있는데, 이것을 사이펀이라고 한다.
똥을 눈 후, 손잡이를 내리면 물탱크의 마개가 열려 변기 안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이 들어가낟. 그 물의 압력으로 사이펀이 완전히 물로 채워지면서 사이펀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고, 변기의 물과 똥이 함께 하수구로 빠져 나가게 된다.
부구
속이 비어있으며 물이 차면 부구가 떠올라 적정량의 물을 수조안에 유지
탱크볼
마개가 열리면서 변기 안으로 물이 내려가고 마개가 닫히면 수조 안에 물이 채워짐
트랩
항상 물이 고여 있어 악취와 하수구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함
배수관
똥과 오줌이 방류되어 하수도로 보내지는 관
베르누이의 원리 Bernoulli's Theorem
수도꼭지
물이 떨어질수록 가늘어지는 이유는 왜 일까?
물이 수도꼭지에서 흘러나오면 중력에 의해서 점점 빨라지고 속도가 빨라지면 압력은 감소한다.
과학자 베르누이는 좁은 통로를 지나가는 공기는 넓은 통로를 지나가는 공기보다 빨리 지나간다는 것을 발견했다. 물도 같은 원리이다. 수도꼭지에서 떨어지며 속도가 빨라진 물은 압력이 감소하여 가늘어진다.
샤워기
샤워기를 틀면 물이 세게 나오지?
샤워기의 작은 구멍은 수압을 세게 만든다. 수도관을 통해 온 물이 샤워기의 작은 구멍을 통과하면서 수압을 세게 만든다.
화장실에서 자연으로 '똥의 여행'
우리가 수세식 변기의 레버를 당길 때마다 사용되는 물의 양은 얼마나 될까?
수세식 변기의 발명으로 깨끗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수세식 화장실은 분변을 물로 내려 보내는 방식이라 1회 약 9리터의 막대한 물을 소비하게 된다.
똥도 자원이라니까 !
똥은 대개 더럽고 냄새 나고 쓸모없는 존재로 여겨진다.
하지만 유기물로 이루어진 똥은 자원으로서 활용가치가 많다
똥은 55-75% 물과 25-45% 메탄가스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메탄은 천연가스(LNG)의 주성분이다.
똥은 현재 지구에서 점점 줄어들고 있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화성안내. 수원시(水原市) (0) | 2017.12.28 |
---|---|
화장실 x 아트. 해우재(解憂齋). 수원시(水原市) (0) | 2017.12.28 |
미스터 토일렛 심재덕. 해우재(解憂齋). 수원시(水原市) (0) | 2017.12.28 |
해우재 문화센터. 수원시(水原市) (0) | 2017.12.28 |
윌테크놀러지. 수원시(水原市) (0) | 201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