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다산 정약용 묘. 다산 유적지. 남양주시(南楊州市) 본문
다산 정약용 묘. 다산 유적지. 남양주시(南楊州市). 경기도(京畿道)
정약용 선생 (1762~1836)의 묘
경기도 기념물 제7호
정약용(丁若鏞)선생은 이곳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당시의 광주군 초부면 마현)에서 아버지 나주정(丁)씨 재원(載遠)과 어머니 해남 윤(尹)씨 <고산 윤선도의 후손> 사이에서 막내아들로 태어나셨다.
이곳 마현(마재)마을은 선생이 태어나시고 묻히신 곳이다. 위로 이복 맏형인 약현(若鉉)과 동복형인 약전(若銓). 약종(若鍾) 그리고 누이(매형이 이승훈)가 계셨다.
서울에서의 관직생활(1783~1800)과 전라남도 강진에서의 유배생활(1801~1818)을 제외 하고는 주로 이곳에서 생활하셨다.
선생은 반계(磻溪) 유형원. 성호(星湖) 이 익 선생의 뒤를 이어 조선시대 실학사상(實學思想)을 집대성한 분으로 조선후기 개화사상가들 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고 문도공(文度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선생은 1표 2서(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로 대표되는 500여권의 경집(經集)과 문집(文集)을 저술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계문화유산의 하나인 수원의 화성을 설계하셨고 거중기 등의 과학기구를 제작하셨으며 마과회통 등의 의학서적도 남기셨다.
선생의 학문적 관심은 오로지 <수기안인(修己安人)>, 즉 <어떻게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아 백성들의 삶을 행복하게 할 수 있는가?>에 있었다.
현재 국립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로비에는 선생의 초상화가 걸려져 있는데 <한국 최대의 사회 과학자>라고 적혀 있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산기념관. 남양주시(南楊州市) (0) | 2018.07.12 |
---|---|
거중기. 녹로. 다산기념관. 남양주시(南楊州市) (0) | 2018.07.12 |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壙中本). 다산유적지. 남양주시(南楊州市) (0) | 2018.07.12 |
다산 사당(문도사). 남양주시(南楊州市) (0) | 2018.07.12 |
정약용 동상. 다산 유적지. 남양주시(南楊州市) (0) | 2018.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