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청운교(靑雲橋). 백운교(白雲橋). 불국사(佛國寺). 경주시(慶州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경상북도

청운교(靑雲橋). 백운교(白雲橋). 불국사(佛國寺). 경주시(慶州市)

세계속으로 2012. 1. 15. 12:13

청운교(靑雲橋). 백운교(白雲橋). 불국사. 경주시(慶州市). 경북(慶北)

 

불국사 청운교. 백운교 (佛國寺 靑雲橋 白雲橋)

국보 제 23호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15-1

불국사의 예배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에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청운교(靑雲橋)와 백운교(白雲橋)는 대웅전을 향하는 자하문과 연결된 다리를 말하는데, 다리 아래의 속세와 다리 위의 부처의 세계를 이어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두 계단중 아래의 것은 17단의 청운교(靑雲橋)로 높이 3.82 m, 너비 5.14 m 이며, 위의 것은 16단의 백운교(白雲橋)로 높이 3.15 m, 너비 5.09 m 이다

전체 33계단으로 되어 있는데, 33이라는 숫자는 불교에서 아직 부처의 경지에 이르지 못한 서른세가지의 단계를 의미한다.

청운교(靑雲橋)는 푸른 청년의 모습으로, 백운교(白雲橋)는 흰머리 노인의 모습으로 인생을 상징한다.

백운교 다리 아래에 작은 통로가 있고, 그 양쪽에 길게 옆으로 뻗은 청운교와 제작 수법이 비슷한 얇고 넓은 덮개돌이 있다.

계단을 다리 형식으로 만든 특이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오르는 경사면을 45도 각도로 구성하여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만들었으며 다듬은 수법도 정교하다.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10년 (750)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며, 신라시대의 다리로는 유일하게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어 매우 귀중하다.

또한 무지개 모양으로 이루어진 다리 아랫부분은 우리나라 석교나 성문에서 볼 수 있는 반원아치 모양을 한 홍예교(虹霓橋)의 초기형태를 보여주고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안내문에서 -

국보 제 23호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시대: 통일신라시대

 

불국사의 예배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은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청운교와 백운교는 대웅전을 향하는 자하문과 연결된 다리를 말하는데, 다리 아래의 일반인의 세계와 다리 위로의 부처의 세계를 이어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전체 33계단으로 되어 있는데, 33이라는 숫자는 불교에서 아직 부처의 경지에 이르지 못한 33가지의 단계를 의미한다. 즉, 다리를 통해 깨달음에 다다르고자 하는 ‘희망의 다리’, ‘기쁨과 축복의 다리’로의 표현의지인 것이다. 아래로는 17단의 청운교가 있고 위로는 16단의 백운교가 있는데, 청운교(靑雲橋)를 푸른 청년의 모습으로, 백운교(白雲橋)를 흰머리 노인의 모습으로 빗대어 놓아 인생을 상징하기도 한다.

계단을 다리형식으로 만든 특이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오르는 경사면을 45°각도로 구성하여 정교하게 다듬었다. 다리 아래는 무지개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직선으로 딱딱해졌던 시선을 부드럽고 생동감있게 풀어주고 있다. 다리가 있는 석축 아래쪽으로 연못이 있었다고 전하는데, 지금도 계단 왼쪽에 물이 떨어지도록 만들어 놓은 장치가 남아 있다. 이곳에서 물이 떨어지면 폭포처럼 부서지는 물보라에 의해 무지개가 떴다고 전하고 있어, 무척이나 아름다웠을 옛 불국사를 그려보게 된다.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며, 신라시대의 다리로는 유일하게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매우 귀중한 유물이다. 또한, 무지개모양으로 이루어진 다리 아래부분은 우리나라 석교나 성문에서 보여지는 반원아치모양의 홍예교의 시작점을 보여주고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