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소간의(小簡儀).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본문
소간의(小簡儀).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경기도(京畿道)
소간의(小簡儀)
소간의는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고, 시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든 천문관측 기기이다.
세종 16년(1434)에 이천(李蕆), 정초(鄭招), 정인지(鄭麟趾)가 제작하여 경복궁 천추전(天秋殿)과 서운관(書雲觀)에 설치하였다.
소간의는 간의보다 크기가 작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여 더욱 간편하게 만든 것으로 눈금이 새겨진 둥근 고리 모양의 환(環), 즉 사유환(四遊環), 적도환(赤道環), 백각환(百刻環), 규형(窺衡), 기둥과 밑받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도좌표계와 지평좌표계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인 관측기기로 해, 달, 행성과 별의 위치, 고도와 방위를 측정할 수 있다.
소간의는 세종시대에 독창적으로 창제된 세계 유일의 천체관측기기이나, 현존하는 유물이 없어 세종실록에 근거하여 국내 최초로 복원하게 된 것이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표(圭表).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
앙부일구(仰釜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정남일구(定南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현주일구(懸珠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천평일구(天平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