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앙부일구(仰釜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본문
앙부일구(仰釜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경기도(京畿道)
앙부일구(仰釜日晷)
앙부일구는 세종 16년(1434)에 처음 만들어져 조선말까지 사용되던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던 해시계의 일종이다.
앙부일구란 시반(時盤)의 모형(模形)이 솥을 받쳐 놓은 듯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그림자를 받는 면이 오목하다 해서 일명 <오목 해시계>라고도 하며, 영침(影針)의 그림자가 동지에서 하지에 이르는 24절기와 그때의 시각을 가리킨다.
이 해시계는 보물 제 845호 앙부일구(국립고궁박물관 소장)를 본뜨고 오늘날 시제(時制)를 적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일구대(日晷臺)
일구대는 앙부일구(仰釜日晷)(해시계)를 올려놓는 받침대로 화강암에 아름다운 조각을 해 놓은 것이다.
세종대왕은 서울의 혜정교(惠政橋)와 종묘(宗廟) 앞에 일구대를 만들고 그 위에 글 모르는 백성을 위하여 시각선 위에 12지 동물모양을 그려 놓은 앙부일구를 설치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중시계(公衆時計)였다는데 그 의의가 크며 세종대왕의 백성을 극진히 사랑하는 어진 치덕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일구대는 왕실에서 쓰다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앙부일구대를 그대로 본떠 제작한 것이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천의(渾天儀).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
규표(圭表).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소간의(小簡儀).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정남일구(定南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현주일구(懸珠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