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극락보전(極樂寶殿). 신륵사(神勒寺). 여주시(驪州市) 본문
극락보전(極樂寶殿). 신륵사(神勒寺). 여주시(驪州市). 경기도(京畿道)
여주 신륵사 극락보전 驪州 神勒寺 極樂寶殿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여주 신륵사 극락보전은 아미타불을 모시는 법당으로 절 안의 중심부에 자리해 있다. 1678년(조선 숙종 4)에 지어진 후 1797년(정조 21)에 수리하기 시작하여 1800년(정조 24)에 완공되었다.
극락보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는 장식인 공포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다포라 한다. 안쪽에는 불단 위에 나무로 만든 아미타여래삼존상(보물 제1791호)이 모셔져 있고, 그 위에는 화려한 닫집*으로 꾸며져 있다. 또한 1773년(영조 49)에 제작한 범종과 후불탱화가 있다.
극락보전의 정문 위에는 나옹화상이 직접 쓴 것이라고 전해 오는 '천추만세'라고 쓴 현판이 있는데, 입체감 있게 쓰여 있어 보는 위치에 따라 글씨가 달라 보이는 점이 특이하다. 신륵사 극락보전은 조선 후기에 크게 수리되었으나 부분적으로 조선 중기의 건축 기법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닫집 : 불단이나 어좌 위에 목조건물의 처마구조물처럼 만든 조형물.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 삼존상
보물 제1791호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신륵사 극락보전에 모셔진 목조 아미타 삼존 여래 좌상으로,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대세지보살이, 오른쪽에는 관세음보살이 배치되어 있다.
가운데의 여래는 앉아 있고, 여래 양옆의 보살은 서 있는데, 유난히 높은 육계, 이국적인 얼굴, 옷 주름 표현의 독창성 등의 조형적 특징은 다른 불상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특징이다.
불상 내부에서 복장* 원문이 발견되어 1610년(조선 광해2)에 승려와 일반 백성 백여 명이 마음을 모아 삼존상을 만든 것임이 밝혀졌다. 특히 인일(仁日)이라는 새로운 조각승의 이름이 확인되어 17세기 초기 조선 시대 불교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복장 : 불상을 만들면서 불상 안에 넣는 사리(舍利)와 여러 가지 유물을 일컫는 말.
여주 신륵사 극락보전 삼장보살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여주 신륵사 극락보전 삼장보살도는 신륵사 극락보전에 모셔져 있으며, 천장보살, 지지보살,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해당 권속*들의 모임이 통일감 있고 안정감 있게 묘사되어 있다.
주된 인물을 비롯하여 각 인물의 개별 묘사도 뛰어날 뿐 아니라 적색과 녹색, 두 가지 색을 주로 사용하면서도 많은 인물들도 잘 드러나게 표현한 수준 높은 작품이다.
경기도에 전하는 삼장보살도 가운데 제작 연대가 가장 앞선 작품이다. 18세기 경기도를 대표하는 화승 각총(覺聰)이 주도하여 그린 불화답게 전체적인 구성, 인물의 묘사 등이 뛰어나 18세기 중엽 탱화의 화풍과 형식 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권속 : 부처님이나 보살을 따르며 불법을 닦는 대중
비로자나불입상
통일신라, 청동
여래입상
통일신라, 청동
탄생불입상
통일신라, 청동
불기 2554(2010)년 극락보전 해체보수 중 불단 아래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청동불상 3점과 아미타부처님(보물 1791호) 복장 발원문
극락보전의 아미타불좌상 복장 발원문은 조선후기 광해군 2년(1610) 10월 10일에 법당에 부처님을 새로이 조성하면서 시주자들의 동참 명단과 협시보살의 보살상 조성 시주자 명단, 또한 불생개금 시주자 명단등과 부처님 조성의 상세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아미타부처님의 조각과 탱화는 비구 인일이 맡았고 보조자는 비구 수천, 증명법사는 화엄종 중덕 설암경옥 등이다. 발원자들은 김성복 부부와 수좌 일운 등 이 대표적이다. 발원문의 내용은 그 당시 왕실의 번영과 안녕, 선왕들과 선왕후등의 조선왕조의 모든 영가들과 또한 이 불사에 동참하신 사부대중들의 선망부모와 조상들의 영가, 임진왜란으로 피해를 입은 명나라와 조선, 왜인의 병사 등의 극락왕생을 발원하고 있다.
더불어 이 불사의 공덕이 널리 모든 중생들에게 베풀어져서 나와 모든 중생들이 극락세계에 왕생하여 아미타부처님을 선견하고 모든 중생들이 큰 깨달음의 세계를 이루고자 간곡하게 발원하고 있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각(三聖閣). 신륵사(神勒寺). 여주시(驪州市) (0) | 2018.01.25 |
---|---|
신륵사 다층석탑(神勒寺 多層石塔). 여주시(驪州市) (0) | 2018.01.25 |
신륵사 보제존자석종(普濟尊者石鍾)(동영상). 여주시(驪州市) (0) | 2018.01.25 |
신륵사 보제존자석종(普濟尊者石鍾). 여주시(驪州市) (0) | 2018.01.25 |
조사당(祖師堂). 신륵사(神勒寺). 여주시(驪州市) (0) | 2018.01.25 |